티스토리 뷰
자동차를 구입할 때 단순한 가격 외에 꼭 고려해야 할 요소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감가율(중고차 가치 하락률)**입니다.
같은 가격으로 새 차를 샀더라도 몇 년 뒤 팔 때 얼마에 되팔 수 있느냐에 따라 진짜 가성비가 달라지죠.
오늘은 중고차 시장에서 감가율이 낮은, 즉 ‘가치가 잘 유지되는 국내 차량 TOP 5’를 소개합니다.
✅ 1. 현대 그랜저 IG
- 중고 감가율: 평균 3년 후 약 40~45%
- 인기 이유: 대형 세단임에도 준수한 연비, 고급스러운 실내, 넓은 공간
- 왜 감가율이 낮을까?
- 법인, 택시, 렌트 수요는 물론 개인 중고차 수요도 탄탄
- 디자인이 세련되고 옵션이 풍부한 트림이 많아 중고차 시장에서도 인기
💡TIP: 특히 2.4 가솔린 프리미엄 트림 이상이 중고 가치가 높게 유지됩니다.
✅ 2. 기아 더 뉴 K5 (3세대 DL3)
- 중고 감가율: 평균 3년 후 약 35~40%
- 인기 이유: 젊고 스포티한 디자인, 다양한 파워트레인
- 왜 감가율이 낮을까?
- 2030 세대에게 압도적인 인기
- 디자인 호평 → 수요 유지 → 중고가 방어
💡TIP: 하이브리드 모델은 연비까지 좋아 특히 감가 방어에 강합니다.
✅ 3. 현대 싼타페 TM
- 중고 감가율: 평균 3년 후 약 38~43%
- 인기 이유: 패밀리 SUV의 대표격, 실내공간과 안전성 우수
- 왜 감가율이 낮을까?
- SUV 수요 급증
- 현대차의 브랜드 파워 + 안정적인 성능
💡TIP: 4륜 구동(HTRAC) 모델은 중고 시장에서 더 높은 가격 형성!
✅ 4. 제네시스 G80 (2세대, 2020년 이전 모델)
- 중고 감가율: 평균 3년 후 약 40~45%
- 인기 이유: 럭셔리 감성, 탄탄한 주행 안정성
- 왜 감가율이 낮을까?
- 중고차 시장에서 프리미엄 세단 수요 꾸준
- 동급 수입차보다 유지비 낮고 성능은 충분
💡TIP: G80은 신차 대비 감가율이 낮은 국산 프리미엄 세단 중 하나입니다.
✅ 5. 기아 모닝 JA
- 중고 감가율: 평균 3년 후 약 30~35%
- 인기 이유: 경차 혜택, 저렴한 유지비, 꾸준한 수요
- 왜 감가율이 낮을까?
- 사회초년생, 세컨드카로 꾸준히 인기
- 경차는 절대적인 매물도 적고, 수요가 항상 있음
💡TIP: 기본 트림보다는 옵션이 적당히 들어간 트렌디/럭셔리 트림이 중고가 방어력 더 좋습니다.
📊 [보너스] 감가율 계산 방법은?
감가율(%) = (신차가 - 현재 중고차가) ÷ 신차가 × 100
예시:
신차가 3,000만원 → 현재 중고가 1,800만원
→ 감가율 = (3,000 - 1,800) ÷ 3,000 × 100 = 40%
📝 마무리: 감가율, 무시하면 손해!
감가율이 낮다는 건 곧 차량의 가치가 그만큼 잘 유지된다는 뜻입니다.
차량을 3~5년 정도 타고 다시 판매할 계획이라면, 오늘 소개한 모델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해보세요.
가성비는 타는 순간이 아니라, 되팔 때 판가름납니다!
궁금한 차량이 있다면 댓글로 문의 주세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수입차 중 감가율 낮은 모델도 소개해드릴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