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근에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을 보고 왔습니다.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를 감독한 신카이 마코토감독이기에 믿고 보았습니다. 이 영화의 줄거리, 결말 그리고 감상후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줄거리

규슈 미야자키에 사는 여고생 이와토 스즈메는 어릴 적 폐허에서 사라진 어머니를 찾아 헤매던 기억이 있다. 현재 미혼인 이모 이와토 타마키와 단둘이 살고 있으며, 어머니처럼 간호사가 되고 싶어 한다. 주인공은 자전거를 타고 등교하던 중 마주친 미남 무나카타 소타와 사랑에 빠진다. 곧 스즈메는 근처에 폐허가 있는지 묻는 남자에게 자연스럽게 알려준다. 그 남자가 학교 근처에서 계속 떠올라 자전거를 돌리게 된다. 소녀는 현장에 도착해 소타를 찾지만 아무리 불러도 나오지 않고 폐허 속에 홀로 서 있는 낡은 문을 발견한다. 우연히 문을 연 주인공은 어릴 때 기억 속의 장소가 문 너머로 펼쳐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 문을 통과하려고 했지만 폐허 속의 같은 장소만이 맴돌고 있었다. 근처에 있는 작은 석상을 주워 만져보니 곧 솜털로 변했고, 주인공은 그것을 떨어뜨려 깜짝 놀랐지만 도망쳤다. 별별 이상한 일이 다 있다면서 방과 후 창밖을 내다보니 온천에서 붉은 것이 흘러나오는 것이 보였다. 폐허로 돌아가니 아침에 만난 소타가 붉은 것들이 쏟아져 나오는 문을 닫고 있다. 함께, 그들은 문을 닫는 데 성공하고 부상당한 남자를 치료하기 위해 집으로 데려온다. 갑자기 아까 스즈메가 만졌던 석상이 창밖에서 고양이로 변한다. 평범한 고양이인 줄 알았던 주인공이 멸치를 건네며 "스즈메는 상냥하다"라고 대답했다. 이윽고 소타를 본 고양이는 "너 때문에 방해가 된다"며 방 안에 있는 수제 아기 의자로 바꾸었고, 고양이는 도망간다. 이 고양이는 다이진으로, 일본 열도에서 미미즈를 진압하는 힘을 가진 카나메이시의 본체 중의 하나였다.

결말

 

 

 

세발 의자가 된 소타는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다이진을 쫓고, 소녀도 두 사람을 쫓기 시작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친구 집에서 잔다는 핑계로 배를 타고 섬을 건너 규슈, 고베, 도쿄를 돌아다닌다. 소녀는 시코쿠 지방 에히메현에서 만난 아마베 치카, 간사이 지방 효고 현 고베시에 사는 니노미야 루미를 만나 의자가 된 소타와 함께 문을 닫는 임무를 이어간다. 남자 주인공 무나카타 소타는 일본의 위협이 대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문(토지시)을 닫아왔고, 스즈메는 이 사실을 알아차리기 위해 할아버지를 방문하기도 한다. 주인공들은 소타의 집에서 만난 세리자와 토모야의 차를 타고 도쿄로 향하고 있다. 조카의 행방을 쫓으며 따라잡은 타마키가 마지막 여행에 함께한다. 마지막 임무를 완수하기 직전, 이모의 진심을 장난스럽게 끄집어내고 다이진처럼 조카에게 상처를 준 사다이진까지 합류하며 도쿄 대지진 예방에 나선다. 그러던 중 다이진이 만들어준 무나타카 소타를 꼽은 스즈메는 남자 대신 요석이 되겠다고 했다. 그녀의 희생정신 덕분에 울고 남자로 돌아오는 남자 주인공은 스즈메와 함께 도쿄 대지진을 막는 데 성공한다. 다시 열린 폐허 속에서 어린 시절 자신을 마주하는 주인공. 실제로 엄마 같은 사람이 문을 통과한 미래의 자신임을 아이가 깨닫는 과정에서 영화 스즈메의 문단속은 막을 내린다. 모든 사건이 끝나고 소녀 덕분에 인간의 몸을 되찾은 소타로 다시 끝난다.

감상후기

주요 인물들의 특징과 감정선, 이야기를 모두 생략한 덕분에 너의 이름은 에서 느꼈던 큰 감동을 느끼지 못했다. 두 주인공의 서사조차 첫눈에 반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깊이 몰입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특유의 아름다운 장면, 재난에 대처할 방법이 없는 무력한 인간, 일본 신화와 육지 신앙을 바탕으로 한 역동적인 연출은 역시 신카이 마코토라고 말하게 만든다. 그리고 마지막 희망의 메시지는 자연재해를 겪고 상실감으로 쓰러진 인간들의 마음까지 따뜻하게 감싸준다. 너무 빨리 가는 장면이나 인물들의 관계를 좀 더 촘촘하게 쌓였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을 조금 남기는 작품이다. 또한 영화내용에서 문을 통해 스즈메는 지금은 폐허가 되었지만, 이전에 인간이 살았던 흔적을 느끼고 듣게 된다. 나는 그 순간의 대화가 좋았다. 큰 순간은 아니지만 하나로 뭉쳐 삶이 이어지는 작은 일이다. 게다가 그런 작은 인연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고 산다. 이 부분은 스즈메가 전국을 여행하며 만나는 관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비록 그들이 나에게 처음이었지만, 스즈메는 그들의 친절함에 의지하여 여행을 계속할 수 있었다. 스즈메에게는 잊지 못할 추억이 될 것 같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 점이 때때로 소타의 독백과 연결된다고 생각한다. 소타는 조금 더 살다가 미미즈를 도쿄에 봉인하기 전에 이 순간을 계속하고 싶어 한다. 이것이 제가 이 영화에서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 순간을 소중히 여기고 이어가려는 욕구가 삶의 원동력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