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화 <명량>을 오랜만에 봤습니다. 이순신장군의 명량대첩의 역사적 배경으로 제작한 작품입니다. 이 영화의 줄거리, 역사적 배경 그리고 감상 후기를 살펴보겠습니다.

영화 <명량> 줄거리

1597년 임진왜란 6년 , 조선은 오랜 전쟁으로 혼란의 절정에 달했고, 이것이 기회였기 때문에 왜군은 잔인한 성격과 뛰어난 전략을 가진 용병 구루지마를 이용해 무서운 속도로 한양으로 향했다. 억울한 누명을 쓰고 옥살이를 한 것뿐만 아니라 면직된 이순신은 삼도수군통제사로 다시 임명되어 나라를 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하지만 그에게 남은 것은 12척의 배와 1척의 거북선뿐이다. 장군들은 두려움 때문에 싸우기를 거부했고, 병사들의 사기는 오래전에 떨어졌다. 임준명은 자신의 첩자 준사의 비밀을 얻기 위해 일본군 본부로 갔고, 국군 포로들이 죽음의 위기에 처하자 이들을 외면하지 못하고 기지를 발휘하여 포로처럼 행동하다가 포로가 되었다. 임준영 대신 비밀편지를 들고 이순신에게 온 배수봉. 수봉의 아버지는 이순신의 오랜 아버지였으나 전사하였다. 수봉은 이순신에게 배에 올라 함께 싸우자고 하고, 이순신은 칼을 들지 않고 노를 잡는 것을 전제로 그를 배에 태운다. 당신은 당신의 삶을 낭비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싸울 수 없었다. 일본군은 목청을 돋우어 포로로 잡힌 병사들의 목을 베어 군영으로 보내는데, 그러면 부대의 사기가 바닥날 것이다라고 생각했다. 전투에서 동료들을 모두 잃은 병사가 탈영하다 붙잡히고, 이순신은 기강을 바로잡기 위해 목을 베는 등 군기를 바로잡으려 한다. 자꾸 도망갈 생각을 하는 병사들은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도록 군영을 불태우며 "죽고자 하면 살 것이고 살고자 하면 죽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마지막 희망이었던 거북선마저 불에 타버렸고, 이순신에게 남은 것은 투지를 잃은 장군과 병사였다. 그리고 배는 12척 밖에 없었다. 왜군은 바다가 검게 보일 정도로 명량으로 몰려들고, 이순신은 부상당한 아들에게 백성들을 대피시키고 목숨을 걸고 결전을 벌인다.

역사적 배경

1905년 당시 일본의 상황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전국시대라는 분단국가를 조총으로 100년 넘게 통일한 것이다. 전국시대는 중국 춘추전국시대를 떠올리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일본의 통일이 무력으로 통일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들의 나라를 잃은 것에 불만을 느끼고, 배신하고, 슬퍼했다. 그래서 내부 결속이 필요했다. 또 한국은 흔히 문인의 나라, 일본은 무사의 나라로 불리지만 통일과 함께 무사의 일은 사라졌다. 그러므로, 그들의 에너지를 위한 배출구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런 상황에서 그때 조선과 전쟁을 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그들은 침략했다. 이것이 임진왜란의 시작이었다. 그들의 생각은 금세 한양으로 올라가 선조를 인질로 삼고 군사적 군량과 병력을 확보하고 명나라 침략을 시도하려 했다. 그러나 선조는 수도를 버리고 의주로 갔다. 당황한 일본인들은 한양과 평양에서 시간을 낭비하고 있었고, 그것은 그들에게 전열을 가다듬을 시간을 벌어주었다. 이 시간은 이순신 장군에게 황금 시간이 되었다. 이순신 장군은 육로를 통해 물자를 전달하는 경로를 끊었다. 이를 통해 일본군은 굶주리고, 무기가 없어지게 되자 힘을 잃는다. 그런 이유로 일본은 2년 만에 철수했고, 이것이 임진왜란이 되었다. 그러고 나서 3년간 휴전에 들어간다. 그리고 휴전이 깨지고 나서 1597년 정유에서 일본인들이 또다시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것이 정유 전쟁의 시작이었다. 이순신 장군의 막강한 힘이 선조들을 압박했다는 것이다. 이순신 장군이 해군사령관으로 있는 3급은 무사해서 백성들이 몰려든다고 한다. 그러자 선조는 매우 예민하고 의심이 많고 시기심이 많았고, 게다가 임진왜란 때 수도를 버리고 의주로 달아났다. 그런 상황에서 이순신 장군은 왕처럼 군림하는 듯했다. 왜놈들이 밖에서 적이라면 내부적으로는 이순신을 큰 적으로 생각하고 선조를 압박한다고 생각했었기 때문이다.

감상 후기

이순신 장군의 업적은 그야말로 전설이다. 노량해전, 부산포해전, 한산도해전, 옥포해전, 당포해전 등 수많은 전투에서 최대의 피해를 거둔 만큼 바다의 신은 포세이돈이 아닌 이순신이라고 하는 편이 더 나을 것이다. 역사적 기록으로는 13척의 배로 왜선 333척을 상대했었는데, 이 중 31척이 침몰하고 일본군이 퇴각하였다. 그리고 이 전투에서 단 한 척의 함선도 잃지 않았고, 단지 두 명이 죽고 두 명이 부상을 당했을 뿐이다. 게임이나 영화에서 보기 드문 전투이기 때문에 이번 명량해전을 미스터리로 보는 이들이 꽤 있다. 그렇다면, 이 영화는 어떻게 묘사되었을까요? 기존 영화들의 이미지 때문에 이순신 장군 역을 맡은 최민식의 연기가 어울릴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영화를 보면서 그런 궁금증이 사라졌다. 모두를 압도하는 낮은 목소리와 엄숙한 표정은 그야말로 연기의 신과 바다의 신의 만남이었다. '살고자 하면 필히 죽을 것이요, 죽고자 하면 살리라',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남아있습니다' 등 유명한 대사들이 마음에 남아 있다. 그리고 중후반부터 등장한 해전 장면은 웅장하고 다채로웠다. 여기저기서 어색한 CG들을 볼 수 있었지만, 이 정도면 훌륭한 묘사라고 생각한다. 영화 초반 자막 처리 부분보다는 이런 배경지식을 보여주는 게 더 나았을 것이다. 그만큼 이번 전투에 투자한 것이라고 봐야겠다. 게다가, 이 영화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 같다. 압도적인 사거리로 싸우는 장면이 나올 줄 알았는데 소총으로 싸우는 장면, 혹은 소총으로 쏘는 장면까지 나온다. 여기에 백병전이 워낙 쉽고 자주 경기를 하는데 배가 이렇게 많으면 어떻게 이길지 궁금하다. 물론 영화이기 때문에 드라마틱한 요소가 어느 정도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 연출이 그렇게 좋은 효과를 거두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또한 백성들에게 충성하는 이순신 장군과 그 충성에 보답하는 백성들을 보여주는 장면들이 있다. 나룻배를 들고 판옥선을 돕고 옷을 펄럭이는 다양한 모습들은 의도는 이해가 갔지만 너무나 단순하고 우스꽝스럽게 나온 연출의 부족함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했다. 이순신 장군을 조금이라도 존경한다면 이것만으로도 영화를 볼 충분한 이유가 될 것이다.